즐겨찾기+  날짜 : 2023-03-29 오후 05:10:02 회원가입기사쓰기전체기사보기원격
뉴스 > 문화/여성 > 시로 여는 아침

김조민 시인이 만난 오늘의 시 - `머물다 간 자리` / 한성근 시인


김조민 기자 / blue2140@hanmail.net입력 : 2023년 01월 24일
머물다 간 자리


한성근




꿈꾸는 천지간에
그 어디에도 없을 것 같은 무아의 경지까지
발걸음 흔들리지 않고
마침내 도달할 수 있다면

내가 잃어버린 것들은 모조리
정수리에 박힌 비열해진 탐욕들만 붙안은 채
슬픔을 참지 못한 볼품없는 잡동사니처럼

빈 공터에 홀로 남겨져
처량하게 비틀거리고 있을 것이다

퍼붓는 야유와 조소가 쏟아진다

걸어온 만큼 가야 할 곳도 안개 속일 텐데
훗날의 나를 헤아려 볼
희미한 불빛마저 사라져 버린다 할지라도
내용도 없는 허술한 기억들은
무엇을 말하려고 낯선 곳을 무작정 바장였는지

심장이 점점 차가워지는 동안
깊어 가는 저물녘부터
거꾸로 흐른 날들이 하도 아득하여

가는 길이 보이지 않을 때마다
고적함을 이기지 못해
스쳐가는 바람에게 지청구하면서
세속에 오염된 허욕들을 뿌리쳤어야 했었을까

서둘러 가 닿을 어디쯤에선가

모든 것 닻 감아 버린 시선이
아직도 숨 가쁘게 맞닥뜨리는 가슴 떨림으로
모른 척 무심히 지나쳐 갔을 것만 같아
이제서야 비로소
잊힌 그리움 남김없이 견디려 한다




▶녹록치 않은 세상은 매번 되풀이하여 후회와 반성의 시간을 쳇바퀴 돌리듯 스스럼없이 사람들에게 안겨주는가 보다.
살아가면서 후회 없는 삶이 어찌 있으리오마는 행복과 불행의 경계에서 제 스스로를 굳건하게 지탱해 나가기 위해선 무엇보다도 그렇게 하겠다는 단단한 의지만은 꼭 가지고 있어야 할 삶의 자세가 아닐까 싶다.




ⓒ GBN 경북방송





▶약력
   2018년 《인간과문학》 등단
   좋은문학상을 수상
   한국문인협회·한국시인협회 회원
   시집 『발자국』 『부모님 전 상서』  『바람의 길』  『채워지지 않는 시간』 




김조민 기자 / blue2140@hanmail.net입력 : 2023년 01월 24일
- Copyrights ⓒGBN 경북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트위터페이스북밴드카카오스토리네이버블로그
 
많이 본 뉴스 최신뉴스
김조민 시인이 만난 오늘의 시 - `이비인후과적 장미` / 조휘 시인..
김조민 시인이 만난 오늘의 시 - `마리모 죽이기` / 금희숙 시인..
김정재 의원, 포항-수서간 고속열차 개통 연내 차질없이 진행..
김조민 시인이 만난 오늘의 시 - `폐타이어` / 최지온 시인..
경북의 23개 벚꽃 명소가 뜬다!..
경북교육청, 2023년‘따뜻한 행복교육’확대 운영..
맞춤형 학습서비스, 학습 코칭의 방향을 안내하다..
경북도내 마이스 현장 운영 인력 양성을 위한 ‘2023 경북 워킹그룹 마이스 교육’성료..
포항시 청소년문화의집, 지역 청소년 활력 불어넣는 상반기 프로그램 운영..
경상북도 전통시장 봄봄봄(가봄,사봄,와봄) 페스티벌 추진..
포토뉴스
시로 여는 아침
들장미가 담장 너머로 늘어져 있어요 겹겹인 꽃송이들 귓바퀴 하나씩 달고.. 
마리모* 죽이기 금희숙 유리병 속에서도 하루는 둥글게 자라는데요 손가락.. 
폐타이어최지온이미 먼 곳에서 뛰어 온 것 같다그러면서 또 먼 곳으로 돈.. 
최동호 교수의 정조대왕 시 읽기
정조는 1752년 임신년에 출생하여 영조 35년 1759년 기묘년 2월..
상호: GBN 경북방송 / 주소: 경상북도 경주시 원화로232(황오동 110-1) 2층 / 발행인 : 진병철 / 편집인 : 황재임
mail: gbn.tv@daum.net / Tel: 054-773-0456 / Fax : 054-773-0457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경남 다-00000 / 청소년보호책임자 : 진병철
Copyright ⓒ GBN 경북방송 All Rights Reserved. 본지는 신문 윤리강령 및 그 실요강을 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