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겨찾기+  날짜 : 2023-03-29 오후 05:10:02 회원가입기사쓰기전체기사보기원격
뉴스 > 문화/여성 > 최동호 교수의 정조대왕 시 읽기

최동호 교수의 시인정조대왕(2)-정조의 성장 과정과 정치적 배경


황재임 기자 / gbn.tv@hanmail.net입력 : 2015년 12월 16일
↑↑ 최동호 교수
ⓒ GBN 경북방송


정조의 성장 과정과 정치적 배경
아버지(사도세자)의 죽음… 참담했던 세손시절

‘생존과 상처극복’ 두가지 숙제
시 통해 내적 고뇌 승화했을 듯

정조는 1752년 임신년에 출생하여 영조 35년 1759년 기묘년 2월 12일 세손으로 책봉되었다. 그의 세손시절은 참담하고 곤혹스러운 것이었다. 그가 10살이었던 1762년 임오년 2월 2일에 가례를 올렸으나 동년 음 윤 5월 21일 그의 아버지 사도세자가 뒤주에 갇혀 죽임을 당했다. 이 사건은 조선조 최대의 비극적 사건 중의 하나였다.

이후 그는 여러 번 닥쳐온 죽음의 위기를 극복하고 영조의 명으로 1775년 12월 10일부터 대리청정을 시작했으며 다음해인 1776년 을미년 영조 51년 영조가 승하하자 3월 10일 25세 나이로 국왕에 등극했다.

세손 시절 정조에게 가장 큰 상처는 아버지 사도세자의 비극적 죽음이다. 사도세자(1735~1762) 죽음의 그 배후에는 복잡한 정치적 이해가 얽혀 있다. 사도세자는 1749년 영조의 명으로 대리청정을 시작했으나 남인 세력을 중용하여 노론 세력과 갈등을 유발했으며 이것이 부왕 영조와의 마찰을 가져온 원인이 되었다.

물론 그 자신의 우울증에 가까운 정신적 유약함도 중요한 원인이기도 했다. 사도세자의 폐위와 직접 관련된 사건은 1762년 평안도 밀행이었다.

이 사건으로 인해 영의정 이천보, 우의정 민백상, 좌의정 이후 등이 자결을 명받았고 세자에게도 자결을 명하였으나 듣지 않자 영조는 목숨을 살려달라고 애걸하는 세자를 뒤주에 감금시켜 아사하게 했다.

영조로서는 장차 왕이 될 세자가 절대로 해서는 안 되는 일을 저질렀다고 대노했으며 아버지로서는 처결하기 힘든 조치를 취한 것이다.

이 사건의 전면에 노론 세력이 등장한 것은 아니지만 세자의 등극을 반대하는 파의 은밀한 책동과 충동질이 있었을 것이다.

1775년 봄 노환에 시달리던 영조가 세손에게 대리청정을 하도록 하는 것이 어떻겠느냐고 묻자 적신 홍인한이 앞장서서 ‘동궁께서는 노론과 소론을 알 필요가 없으며 이조판서와 병조판서를 알 필요가 없습니다. 조정의 일에 있어서는 더욱이 알 필요가 없습니다’라고 답했을 정도이다.

이 말을 듣고 ‘왕은 한참 동안 흐느껴 울었다’고 실록은 전한다. 일 년 후 영조가 승하하고 등극한 정조가 맨 처음 ‘과인은 사도세자의 아들이다’라고 선언한 것은 매우 상징적이다.

세손 시절 정조가 가진 두 가지 명제는 살해 위협으로부터 살아남아야 한다는 것과 아버지 사도세자의 죽음이 주는 상처를 어떻게 극복하는가 하는 것이었을 터이다. 이 절체절명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그의 마음을 다스려 줄 수 있는 문학이 필요했을 것이며 특히 시를 통해 자신의 내적 고뇌를 승화시켜야 했을 것이다.




최동호 시인, 평론가/고려대학교 명예교수, 경남대학교 석좌교수
황재임 기자 / gbn.tv@hanmail.net입력 : 2015년 12월 16일
- Copyrights ⓒGBN 경북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트위터페이스북밴드카카오스토리네이버블로그
 
많이 본 뉴스 최신뉴스
김조민 시인이 만난 오늘의 시 - `이비인후과적 장미` / 조휘 시인..
김조민 시인이 만난 오늘의 시 - `마리모 죽이기` / 금희숙 시인..
김정재 의원, 포항-수서간 고속열차 개통 연내 차질없이 진행..
김조민 시인이 만난 오늘의 시 - `폐타이어` / 최지온 시인..
경북의 23개 벚꽃 명소가 뜬다!..
경북교육청, 2023년‘따뜻한 행복교육’확대 운영..
맞춤형 학습서비스, 학습 코칭의 방향을 안내하다..
경북도내 마이스 현장 운영 인력 양성을 위한 ‘2023 경북 워킹그룹 마이스 교육’성료..
포항시 청소년문화의집, 지역 청소년 활력 불어넣는 상반기 프로그램 운영..
경상북도 전통시장 봄봄봄(가봄,사봄,와봄) 페스티벌 추진..
포토뉴스
시로 여는 아침
들장미가 담장 너머로 늘어져 있어요 겹겹인 꽃송이들 귓바퀴 하나씩 달고.. 
마리모* 죽이기 금희숙 유리병 속에서도 하루는 둥글게 자라는데요 손가락.. 
폐타이어최지온이미 먼 곳에서 뛰어 온 것 같다그러면서 또 먼 곳으로 돈.. 
최동호 교수의 정조대왕 시 읽기
정조는 1752년 임신년에 출생하여 영조 35년 1759년 기묘년 2월..
상호: GBN 경북방송 / 주소: 경상북도 경주시 원화로232(황오동 110-1) 2층 / 발행인 : 진병철 / 편집인 : 황재임
mail: gbn.tv@daum.net / Tel: 054-773-0456 / Fax : 054-773-0457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경남 다-00000 / 청소년보호책임자 : 진병철
Copyright ⓒ GBN 경북방송 All Rights Reserved. 본지는 신문 윤리강령 및 그 실요강을 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