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겨찾기+  날짜 : 2025-07-06 06:59:50 회원가입기사쓰기전체기사보기원격
뉴스 > 문화/여성 > 시로 여는 아침

김조민 시인이 만난 오늘의 시 - `건들장마` / 김지희 시인


김조민 기자 / blue2140@hanmail.net입력 : 2020년 02월 06일
건들장마

김지희 


장대비가 쏟아진다
한낮 햇살 한 줌에도
웃음 가득 머금던 골목도
발목까지 흠뻑 젖었다
입술은 온종일 비 오고
캄캄한 입속은 말라 간다
슬픈 애인 같은 비바람
시퍼런 칼날을 세워 젖은 길들을 오려낸다
하, 춥고 축축해 버리고 싶은 세상
캄캄하게 흐르는 계단을 이고
낯선 언어는
이 젖은 창가에서 무엇을 말하는 것인지
삶에는 내가 미처 알지 못했던 벼랑이 있는 법
세상이 장미 송이 다발처럼 환한 불빛 가득해도
발목을 젖지 않고는 건널 수 없는 것들이 있지
기댈 기둥 하나 없는
그 길 위에서 적막함을 쓰고
안개 신발을 신고 가뭇없는 길을 나선다
수은등 불빛마저 젖어있는
몽당연필처럼 추운 거리를
떨리며 진저리치며 지나 온 생이 얼마나 깊어졌는지…
밤은 벌써 강으로 내려가 홀로 깊어지는데
하, 아직 얕은 길을 가고 있는 신발 하나




▶마음을 닦는다고 하지만, 사실 마음은 닦을 것이 없습니다. 실체가 없는 것을 닦을 수 없기 때문입니다. 마음은 다만 쉴 수 있을 뿐입니다. ‘쉬는 것이 깨달음’인 것입니다(원효)
기댈 기둥 하나 없는 이 아뜩한 세상…얕은 길을 가고 있는 신발일지라도, 그 곁에 함께 불행해도 좋을 한 사람 있다면, 캄캄하게 흐르는 계단을 이고 쉬어 갈 수 있을까




ⓒ GBN 경북방송



▶약력
   2006년 《사람의 문학》 등단
   2014년 영주일보 신춘문예 당선
   시집 『토르소』
   문학에세이집 『사랑과 자유의 시혼』





김조민 기자 / blue2140@hanmail.net입력 : 2020년 02월 06일
- Copyrights ⓒGBN 경북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트위터페이스북밴드카카오스토리네이버블로그
Tags : 김지희 사람의문학 영주일보 토르소 김조민
 
포토뉴스
시로 여는 아침
히말라야 소금으로 간을 할 때마다 원시의 바다였던 히말라야 하늘빛과.. 
어쩔 길 없이 나무는 꽃을 밀어낸다 더 갈 데 없는 가지 끝에 꽃들은 .. 
백담사 뜰 앞 냇물 위 걸려 있는 수심교 난간에 비스듬히 기대어 설악산.. 
최동호 교수의 정조대왕 시 읽기
정조는 1752년 임신년에 출생하여 영조 35년 1759년 기묘년 2월..
상호: GBN 경북방송 / 주소: 경북 포항시 북구 중흥로 139번길 44-3 / 대표이사: 진용숙 / 발행인 : 진용숙 / 편집인 : 황재임
mail: gbn.tv@daum.net / Tel: 054-273-3027 / Fax : 054-773-0457 / 등록번호 : 171211-0058501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경북 아00116 / 청소년보호책임자 : 진용숙
Copyright ⓒ GBN 경북방송 All Rights Reserved. 본지는 신문 윤리강령 및 그 실요강을 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