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겨찾기+  날짜 : 2025-07-03 10:52:46 회원가입기사쓰기전체기사보기원격
뉴스 > 문화/여성 > 시로 여는 아침

김조민 시인이 만난 오늘의 시 - `탈각脫殼` / 김영숙 시인


김조민 기자 / blue2140@hanmail.net입력 : 2020년 03월 12일
탈각脫殼

김영숙


갑각의 허물을 벗는다
사방에서 이빨들이 달려들고
조등이 켜지는 순간을 칩거 중이었는데

무허가 집 안에서 살고 있던
소라게 한 마리

수호성을 버리고
말랑한 속내를 드러냈을 때
고집 센 단단함보다
더 강한 부드러움을 알게 되고

갑각의 허물을 벗은 소라게 한 마리
그때가 어른이 되는 거라고
집게발을 세운 채
조용히 기다리고 있다





▶온 몸이 딱딱한 껍질로 되어 있는 전갈, 게 같은 갑각류는 단단한 외골격이 적들의 공격으로부터 보호막이 되지만, 성장하면서 기존골격이 몸을 지탱할 수 없어 고통스러운 탈피와 변태의 과정을 겪어야 한다.
포식자들에게 잡아먹힐 위험을 감수하면서도, 성체가 되기 위해 껍질을 벗고 부드러운 속살을 드러낸다. 철갑 외골격은 갑각류가 성장하는데 있어서 방해만 될 뿐이다.
부드러움만이 성장할 수 있는 힘이 됨을 보여준다.
물렁한 혀가 어떠한 무기보다 더 강하다고 하지 않는가?

단단한 것 보다 부드러운 것이 더 강한 힘이 됨을 소라게를 보며, 새삼 배운다.

우리도 성숙한 인간이 되기 위해서는 기득권을 내려놓고, 아집의 단단한 껍질을 깨고 나와서 “온유와 사랑”이라는 말랑하고, 한없이 부드러운 속살을 보여주어야 할 것 같다. 타인과 소통하지 못하고, 오만과 배타의 견고한 성 안에 스스로 갇혀 있는 내 모습을 이제서야 바라본다.
나도 소라게처럼 단단한 성벽을 깨뜨리고, 가슴 속 깊이 잠들어 있을 따뜻하고도, 한없이 부드러운 겸손과 사랑을 깨어 보려한다. 시간이 많이 걸리겠지만...





ⓒ GBN 경북방송



▶약력
   2016년도 심상 등단
   2018년도 시와 문화 신인상
   심상 문학회 회원
   늘시 동인회 회장




김조민 기자 / blue2140@hanmail.net입력 : 2020년 03월 12일
- Copyrights ⓒGBN 경북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트위터페이스북밴드카카오스토리네이버블로그
Tags : 김영숙 탈각 심상 시와문화 늘시 김조민
 
포토뉴스
시로 여는 아침
히말라야 소금으로 간을 할 때마다 원시의 바다였던 히말라야 하늘빛과.. 
어쩔 길 없이 나무는 꽃을 밀어낸다 더 갈 데 없는 가지 끝에 꽃들은 .. 
백담사 뜰 앞 냇물 위 걸려 있는 수심교 난간에 비스듬히 기대어 설악산.. 
최동호 교수의 정조대왕 시 읽기
정조는 1752년 임신년에 출생하여 영조 35년 1759년 기묘년 2월..
상호: GBN 경북방송 / 주소: 경북 포항시 북구 중흥로 139번길 44-3 / 대표이사: 진용숙 / 발행인 : 진용숙 / 편집인 : 황재임
mail: gbn.tv@daum.net / Tel: 054-273-3027 / Fax : 054-773-0457 / 등록번호 : 171211-0058501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경북 아00116 / 청소년보호책임자 : 진용숙
Copyright ⓒ GBN 경북방송 All Rights Reserved. 본지는 신문 윤리강령 및 그 실요강을 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