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겨찾기+  날짜 : 2025-07-11 21:30:11 회원가입기사쓰기전체기사보기원격
뉴스 > 문화/여성 > 시로 여는 아침

김조민 시인이 만난 오늘의 시 - `바람소리` / 이경 시인


김조민 기자 / blue2140@hanmail.net입력 : 2020년 06월 16일
바람소리

이경


누가 이 밤에 흰 생 무를 썰고 있네
시간의 발자국 소리 같이 일정한 간격으로
무쇠 식칼 시퍼런 날 아래 한 절벽이 잘려나가고
또 한 절벽이 하얗게 눕는다
지금처럼
그 때도 무서운 역병이 돌아
수상한 바람이 앞발톱을 세우고
어린 것들 이마 위를 어슬렁거리는 밤에
어머니는 무쇠 식칼로 생 무를 썰고
나는 연필심에 침을 묻혀 숙제를 했다
무엇에 놀라기라도 하듯
등잔불이 쿨럭이며 수염을 길게 그을면
우리는 긴 역사책 같은 바람 소리를 읽었네
어둠 속에서도 한 발 삐끗하는 법 없이
거두절미 단도직입
어머니 생 무 자르는 칼도마 소리에
바람도 문밖에서 기세가 꺾이고
병마도 발꿈치 들고 저만치 비켜 갔어라
병마도 발꿈치 들고 저만치 비켜 갔어라




▶이번 코로나 환란에 아무런 도움이 되지 못하는 시인의 무력함이 부끄러웠습니다. 어려운 때일수록 더욱 강하게 발휘되는 우리 민족성의 근간에 숨어 있는 희고 빛나는 섬유질을 생각해봤습니다. 잦은 사변과 외침을 겪으면서 삶을 지탱하고 발전시켜 온 한반도 어머니들의 힘이 어찌 ‘무 자르는 힘’ 뿐이겠습니까만. 칼을 잘 다루는 일이란 더구나 통무를 일정한 간격으로 채 써는 작업은 매사에 힘의 안배와 사려 깊은 주의력을 필요로 하니까요.





ⓒ GBN 경북방송





 ▶약력
    1993년 계간 《시와시학》으로 등단
    제5회 유심작품상 수상
    제19회 시와시학상 작품상 수상
    시집 『소와 뻐꾹새소리와 엄지발가락』 『흰소, 고삐를 놓아라』 『푸른 독』
          『오늘이라는 시간의 꽃 한 송이』






김조민 기자 / blue2140@hanmail.net입력 : 2020년 06월 16일
- Copyrights ⓒGBN 경북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트위터페이스북밴드카카오스토리네이버블로그
Tags : 이경 시와시학 유심작품상 김조민
 
포토뉴스
시로 여는 아침
중앙박물관에 있는 왕은 오백 년 동안 밥을 먹지 않는다. 천 년 동안 .. 
히말라야 소금으로 간을 할 때마다 원시의 바다였던 히말라야 하늘빛과.. 
어쩔 길 없이 나무는 꽃을 밀어낸다 더 갈 데 없는 가지 끝에 꽃들은 .. 
최동호 교수의 정조대왕 시 읽기
정조는 1752년 임신년에 출생하여 영조 35년 1759년 기묘년 2월..
상호: GBN 경북방송 / 주소: 경북 포항시 북구 중흥로 139번길 44-3 / 대표이사: 진용숙 / 발행인 : 진용숙 / 편집인 : 황재임
mail: gbn.tv@daum.net / Tel: 054-273-3027 / Fax : 054-773-0457 / 등록번호 : 171211-0058501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경북 아00116 / 청소년보호책임자 : 진용숙
Copyright ⓒ GBN 경북방송 All Rights Reserved. 본지는 신문 윤리강령 및 그 실요강을 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