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겨찾기+  날짜 : 2025-07-06 06:37:21 회원가입기사쓰기전체기사보기원격
뉴스 > 문화/여성 > 시로 여는 아침

김조민 시인이 만난 오늘의 시 - `우표를 붙이겠습니까` / 김효선 시인


김조민 기자 / blue2140@hanmail.net입력 : 2020년 07월 30일
우표를 붙이겠습니까

김효선


우체국에 갑니다 쓸쓸해서
새도 없이 새장을 키우면서 말이죠
오늘의 날씨에 소인을 찍는다면
아침에 본 깃털을 저녁에도 볼 수 있나요

어제 사랑한 얼굴이 도무지 기억나지 않아요
새장을 키우면 새는 한 번쯤 고백을 할까요

우리가 다시 사랑한다면
마르고 닳도록 침이 마르게
어제의 계단을 닦겠습니다

마흔 살부터 똑같은 헤어스타일
국물 없는 떡볶이를 좋아하고
문을 열자마자 브래지어를 벗어 던질 때
우표를 붙이겠습니까

새도 없는 새장에서 깃털이 떨어지고
아무리 흔들어도
새장은 깨어나지 않아요

오늘의 운세는 희망을 가져도 좋습니다
우체국은 아직 열려 있습니다 아무렴요,




▶기다리는 것이 무엇인지 모른 채 기다릴 때가 있다. 이 막연함은 어디서 오는 걸까. 그렇게 막연함 끝에 이상한 문장 하나가 툭 떨어진다. 그것이 내가 기다리고 있던 것이었는지 어쩐지는 모르지만. 아무튼 막연함, 막막함은 언제나 아침을 여는 화두다. 막연함의 막다른 골목엔 궁극이라는 지점이 기다린다. 보이지 않아도 끝까지 밀어붙이는 자리. 기다릴 게 없는데도 기다리는 버릇은 나무의 전생은 아니었을까 생각하면서.




ⓒ GBN 경북방송




▶ 2004년 계간 《리토피아》 등단
   시와경계문학상 수상, 서귀포문학작품상 수상
   시집 『서른다섯 개의 삐걱거림』 『오늘의 연애 내일의 날씨』 『어느 악기의 고백』





김조민 기자 / blue2140@hanmail.net입력 : 2020년 07월 30일
- Copyrights ⓒGBN 경북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트위터페이스북밴드카카오스토리네이버블로그
Tags : 김효선 리토피아 시와경계문학상 서귀포문학작품상 김조민
 
포토뉴스
시로 여는 아침
히말라야 소금으로 간을 할 때마다 원시의 바다였던 히말라야 하늘빛과.. 
어쩔 길 없이 나무는 꽃을 밀어낸다 더 갈 데 없는 가지 끝에 꽃들은 .. 
백담사 뜰 앞 냇물 위 걸려 있는 수심교 난간에 비스듬히 기대어 설악산.. 
최동호 교수의 정조대왕 시 읽기
정조는 1752년 임신년에 출생하여 영조 35년 1759년 기묘년 2월..
상호: GBN 경북방송 / 주소: 경북 포항시 북구 중흥로 139번길 44-3 / 대표이사: 진용숙 / 발행인 : 진용숙 / 편집인 : 황재임
mail: gbn.tv@daum.net / Tel: 054-273-3027 / Fax : 054-773-0457 / 등록번호 : 171211-0058501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경북 아00116 / 청소년보호책임자 : 진용숙
Copyright ⓒ GBN 경북방송 All Rights Reserved. 본지는 신문 윤리강령 및 그 실요강을 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