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겨찾기+  날짜 : 2025-07-11 12:17:57 회원가입기사쓰기전체기사보기원격
뉴스 > 문화/여성 > 시로 여는 아침

김조민 시인이 만난 오늘의 시 - `신발` / 김정수 시인


김조민 기자 / blue2140@hanmail.net입력 : 2021년 01월 12일
신발

김정수


최후의 순간 버림받아
죽음을 증거하는 삶도 있다

끝까지 함께할 수 없는 운명에 바람 더듬어 과거를 뒤집기도 하지만
발견되는 순간까지
종이 한 장 밟고 서있는 기막힌 후생이다

망설이고 서성거린 모서리의 시간이
참 외롭고 무서웠을 것이다

파르르, 다 전해졌을 것이다

뛰어내리다 나뭇가지 붙잡고 발버둥 치는 걸
목격했을지도 모른다
혹여 바람에 훅, 날릴까 봐
조바심 냈을 것이다

나도 한때 섰던 그 자리

오래 바닥을 끌고 온 삶이
벼랑 끝에 놓여 있다




▶얼마 전에 ‘자살생존자’라는 말을 들었다. 그 말을 듣는 순간 눈앞이 뜨거워지면서 ‘울컥’ 올라왔다. 애초에 잊는 건 불가능했다. 잘 견디고 있었던 것이 아니라 가슴속 깊이 묻고, 억누르고 있었던 것이다. 그럴 용기로 살지나 어쭙잖은 위로는 더 큰 상처를 주는, 그 자리에 서 보지 않았으면 그냥 조용히 지켜볼 일이다. 평생 짊어지고 가야 하는 삶의 빚. 빛과 어둠이 신발을 드러내게 한다.




ⓒ GBN 경북방송




▶약력
   1990년 《현대시학》으로 등단
   제28회 경희문학상 수상
   시집 『홀연, 선잠』 『하늘로 가는 혀』 『서랍 속의 사막』




김조민 기자 / blue2140@hanmail.net입력 : 2021년 01월 12일
- Copyrights ⓒGBN 경북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트위터페이스북밴드카카오스토리네이버블로그
Tags : 신발 자살생존자 현대시학 경희문학상 김조민
 
포토뉴스
시로 여는 아침
중앙박물관에 있는 왕은 오백 년 동안 밥을 먹지 않는다. 천 년 동안 .. 
히말라야 소금으로 간을 할 때마다 원시의 바다였던 히말라야 하늘빛과.. 
어쩔 길 없이 나무는 꽃을 밀어낸다 더 갈 데 없는 가지 끝에 꽃들은 .. 
최동호 교수의 정조대왕 시 읽기
정조는 1752년 임신년에 출생하여 영조 35년 1759년 기묘년 2월..
상호: GBN 경북방송 / 주소: 경북 포항시 북구 중흥로 139번길 44-3 / 대표이사: 진용숙 / 발행인 : 진용숙 / 편집인 : 황재임
mail: gbn.tv@daum.net / Tel: 054-273-3027 / Fax : 054-773-0457 / 등록번호 : 171211-0058501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경북 아00116 / 청소년보호책임자 : 진용숙
Copyright ⓒ GBN 경북방송 All Rights Reserved. 본지는 신문 윤리강령 및 그 실요강을 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