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겨찾기+  날짜 : 2025-07-01 07:56:48 회원가입기사쓰기전체기사보기원격
뉴스 > 문화/여성 > 시로 여는 아침

김조민 시인이 만난 오늘의 시 - `구름의 남쪽 ` / 정수자 시인


김조민 기자 / blue2140@hanmail.net입력 : 2021년 01월 14일
구름의 남쪽

정수자


운남(雲南)을 불러보네, 구름의 먼 남쪽을
하루에도 몇 번씩 양떼를 풀고 섰다
하늘로 소풍 보내는
전설 같은 설산을

그 허리께 아슬히 찬 차마고도 안섶엔
말처럼 늙는 마방들 귀의를 노래 삼아
구름 속 하늘 마을로 햇차를 나른다고

설산의 차운 물로 더운 밥을 짓다가도
바람의 푸른 입술로 찻잎을 키우다가도
수시로 무릎을 꿇고 구름의 말을 헨다고

하여 양떼들이 빙하로 다시 내릴 제면
머리를 묻고 서서 구름이 되는 흰 마을
설산도 고조곤히 조는
그리워라 샹그리라




▶코로나19로 갇혀 지내자니 여행이 간절하다. 운남성은 중국 어느 곳보다 깨끗하고 선선하고 아름답다. 세계유산인 여강고성과 대리고성의 고색창연에 옥룡설산이 신비를 더한다. 설산의 물이 실핏줄처럼 흐르는 고샅에는 소수민족도 많이 산다. 차마고도가 시작되는 곳, 그래서 더 깊이 그립고 자꾸 돌아 뵈는가.




ⓒ GBN 경북방송




▶약력
  1984년 세종숭모제전국시조백일장 장원 등단.
  가람시조문학상, 중앙시조대상, 이영도시조문학상, 현대불교문학상, 한국시조대상 등 수상.
  시집 『그을린 입술』 등 6권과 가사시집 『화성별곡』  『한국 현대 시인론』 등 공저 10여 권.




김조민 기자 / blue2140@hanmail.net입력 : 2021년 01월 14일
- Copyrights ⓒGBN 경북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트위터페이스북밴드카카오스토리네이버블로그
Tags : 운남 샹그리라 코로나 세계유산 김조민
 
포토뉴스
시로 여는 아침
어쩔 길 없이 나무는 꽃을 밀어낸다 더 갈 데 없는 가지 끝에 꽃들은 .. 
백담사 뜰 앞 냇물 위 걸려 있는 수심교 난간에 비스듬히 기대어 설악산.. 
가을빛 따라 느릿한 걸음단풍나무 그늘에 모여든 바람 따뜻한 눈빛 오간다.. 
최동호 교수의 정조대왕 시 읽기
정조는 1752년 임신년에 출생하여 영조 35년 1759년 기묘년 2월..
상호: GBN 경북방송 / 주소: 경북 포항시 북구 중흥로 139번길 44-3 / 대표이사: 진용숙 / 발행인 : 진용숙 / 편집인 : 황재임
mail: gbn.tv@daum.net / Tel: 054-273-3027 / Fax : 054-773-0457 / 등록번호 : 171211-0058501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경북 아00116 / 청소년보호책임자 : 진용숙
Copyright ⓒ GBN 경북방송 All Rights Reserved. 본지는 신문 윤리강령 및 그 실요강을 준